develop 123

텍스트박스에 대문자로만 입력되기를...

배경: 난 텍스트박스에 대문자로만 입력되기를 원했다. 당연히 실재값도 대문자이기를 원했다. 클립보드(clipboardData)를 사용했다. 그런데 아이7(IE7) 부터는 안된다고 한다.(보안 경고창 뜬다고 카드라. ) 이게 시작이었다. function fn_Upper(vID) { document.getElementById(vID).style.textTransform="uppercase"; var v = document.getElementById(vID).value; document.getElementById(vID).value = v.toUpperCase(); //alert(document.getElementById(vID).value); } ----------------------------------..

develop 2007.06.28

SourceSafe 누가 무슨 무슨 프로그램을 잡고 있을까?

수정해야지 추가해야지 작업해야지 체크 아웃. 엥 누군가가 잡고 있군 누굴까? 방법1 : 소리쳐~ 무슨 무슨 화면 잡고 있는 사람? 풀어 주던가 작업 끝나면 알려주세요~ 방법2 : 메신저(단 개발자 모두가 같은 메신저...) 알리아스 전체메시지:무슨 무슨 화면 잡고 있는 사람? 풀어 주던가 작업 끝나면 알려주세요~ 방법3 : SourceSafe Program 을 열어서 확인 무슨 무슨 화면 잡고 있는 누구씨! 풀어 주던가 작업 끝나면 알려주세요~ 방법4 : 쓰고자 했던거 vs.net의 output window 에서 Show output from 라벨이 있는 DDL에 Build와 Source Control => "요기" 라는 alias로 정함 ㅋ. 해당 프로그램을 체크 아웃하면 another user가 체크..

develop 2007.06.28

웹폼 사이의 데이타 전달 또는 상태 관리.

1. 세션을 사용한다. 데이타가 많은 경우엔 어레이리스트틀 사용하는 센스. 2. 쿠키를 사용한다. 3. 파일읽고 쓰기를 이용한 파일을 사용한다. 4. get방식의 전달파라미터를 사용한다. 5. 자식창으로 띄워진 경우 서로간의 컨트롤 값으로 전달한다. Hidden 으로 사용하라는... 6. Cache["뭐시기"] 캐쉬를 사용한다. 7.Application["뭐시기"] HttpApplicationState를 사용한다. 8. 스태틱 변수를 사용한다. webform1 => public static string str = "123" webform2에서 불러다 쓸경우 webform1 wf1 = new webform1(); wf1.str; ... 또 뭐가 있나 ... 9. 컨트롤 찾기 msdn에서 "페이지 간" 요정..

develop 2007.06.28

Dropdownlist 디자인단에서 DDL 데이타 없애기

1. document.Form.ddl.options.length = 0; 드랍다운리스트 목록이 많아지면 늦다 많이 늦다. 바인딩 되는 시간 만큼의 시간이 걸리더라. 2. document.Form.ddl.innerHTML = ""; 이거 겁나 빠르다. 보는 순간 오호 했다. 너의 존재를 없애 버리겠어!!! 확장 document.__Form.ddl.innerText = ""; 이건 같은 효과 발생. 둘중에 뭐가 경우(?)에 맞는 것 일까? DDL은 select tag로 랜더링 되니까 innerHTML = ""; 이게 맞는 경우인 거 같다. document.Form.ddl.value = ""; 이건 초기화 되더라.

develop 2007.06.28

'찾아보기' 버튼을 누르지 않고는 파일첨부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찾아보기 버튼의 click() 이벤트도 불가능 하다. 이런 이런. ===>>>>>>>>> '찾아보기' 버튼을 직접 누르지 않고는 파일첨부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찾아보기 버튼의 click() 이벤트도 불가능 하다.(눌러지기 하다니 훼이크에 당했다. 움찔.) 이런 젠장. 그래서 div로 찾아보기 부분을 덮어버린다. 투명하게 그리고 그 위치는 z-index 로 잡는다. 그리하여 홀연히 그 자리에는 파일 첨부 이미지 버튼을 둔다. 아 ...히밤 그래서

develop 2007.06.28
반응형